HACCP 썸네일형 리스트형 슬기로운 HACCP 안내서 - 3. 선행요건 작업장 관리 이번 글부터는 소규모 업소를 기준으로 하는 선행요건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입니다. 선행요건(Pre-requisite Program, PrP)에 관해 다시 간단히 짚고 가자면, HACCP 적용 이전의 위생관리 기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선행요건이라는 기반 위에 HACCP을 적용하는 개념이므로 흔히 SSOP(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라 알려진 표준위생관리기준과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s)가 결합된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GMP → 위생적인 제조시설·설비의 확보, SSOP → 위생성의 확보 HACCP → 안전성의 확보 당연하겠지만 HACCP 적용을 전제하는 관리기준이므로 최소한 법적기준을 충족하거나 강화된 수준이어야 합니다. 소.. 더보기 슬기로운 HACCP 안내서 - 2. 소규모 업소 사업장 혹은 영업장, 작업장에 HACCP 해썹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업종과 규모, 매출액에 따른 식약처 고시 상의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업종, 규모, 매출액에 따라서 준수해야 하는 선행요건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연매출 1000억원의 50명이 일하는 업소 A와 연매출 3억원의 5명이 일하는 업소 B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두 업소는 품질관리에 투입할 수 있는 설비, 인력 등의 능력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업소 A의 기준이 업소 B에 동일하게는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여기서 매출 3억원의 5명이 일하는 업소 B는 '소규모 업소'로 분류되고, 소규모 업소용 선행요건을 준수하면 됩니다.(HACCP 기준도 같습니다.) 위에서 예를 들었던 업소 B와 같이, 소규모 업소로 분류.. 더보기 슬기로운 HACCP 안내서 - 1. 식품/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 흔히 해썹 HACCP이라고 하는 식품/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에 대하여 부분별로 나누어 글을 써보려 합니다. 연재글 형식으로 거창하게 슬기로운 HACCP 안내서라는 제목도 붙여보았는데, 실제로 얼마나 써질지는... 가봐야 알 것 같습니다. 오늘은 그 서론 정도가 될 것 같군요. HACCP은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의 약자이고, 위해요소분석(Hazard Analysis)과 중요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이 합해진 말입니다. 즉, HACCP이란 식품이나 축산물의 안전에 있어서 위해요소를 분석하고, 특히 위협이 큰 부분을 중점적으로, 안전한 수준으로 관리하는 체계입니다. 세상에 처음 HACCP이란 것이 등장하게 된 시기는 1950년대 말 입니다... 더보기 이전 1 다음